유명인 '뒷광고 논란' 악플에 헌재 '모욕죄 기소유예 취소' 판결… 표현의 자유 어디까지?

2025-06-01
유명인 '뒷광고 논란' 악플에 헌재 '모욕죄 기소유예 취소' 판결… 표현의 자유 어디까지?
조선비즈

유명인 '뒷광고 논란' 이후 악플러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최모 씨가 특정 유명인의 복귀 관련 기사에 “대놓고 사기쳤구만”이라는 악성 댓글을 작성하여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으나, 헌법재판소는 이 결정이 부당하다며 전원일치 판결로 기소유예 처분을 취소했습니다.

사건의 배경: '뒷광고 논란'과 최모 씨의 댓글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 미디어에서 '뒷광고' 논란이 뜨겁게 달아올랐습니다. 유명인 A씨가 광고 협찬을 받은 사실을 뒤늦게 공개하면서 논란이 시작되었고, 이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이 형성되었습니다. 이후 A씨가 복귀한다는 기사가 보도되었고, 최모 씨는 해당 기사에 “대놓고 사기쳤구만”이라는 댓글을 작성했습니다.

기소유예 처분과 헌법소원 제기

최모 씨는 해당 댓글로 인해 모욕죄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검찰은 여러 사정을 고려하여 기소유예 처분을 내렸습니다. 기소유예 처분은 범죄 혐의가 인정되지만, 피고인의 반성, 피해 회복 노력, 범죄 전력 등을 고려하여 검사가 공소 제기를 하지 않는 제도입니다. 최모 씨는 이러한 기소유예 처분에 불복하여 헌법소원을 제기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결정: 표현의 자유와 모욕죄의 경계

헌법재판소는 최모 씨의 헌법소원 심판 결과, 기소유예 처분에 대한 위헌 소지가 있다고 판단하여 전원일치 의견으로 기소유예 처분 취소를 결정했습니다. 재판부는 “유명인의 사회적 지위와 공적 활동의 특성을 고려할 때, 비판적인 의견 표명은 감수해야 할 측면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댓글 내용이 과격하다 하더라도 표현의 자유를 지나치게 억압하는 것은 헌법적 가치에 반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논란과 전망: 표현의 자유와 책임의 균형점은?

이번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표현의 자유와 모욕죄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온라인 상에서의 비판적인 의견 표명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지만, 동시에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악의적인 행위는 책임을 져야 합니다. 이번 판결을 계기로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 미디어에서의 건전한 소통 문화가 조성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판결이 향후 유명인의 명예훼손 관련 소송에 대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더욱 신중하게 표현의 자유와 책임 사이의 균형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