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2028년 완전자율주행(레벨3) SDV 양산…미래 모빌리티 혁신 이끈다!
현대자동차가 2028년까지 레벨 3 자율주행 기술이 탑재된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을 양산한다는 야심찬 목표를 발표하며 미래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경민 현대차 자율주행소프트웨어개발실장 상무는 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자율주행산업컨퍼런스'에서 현대차의 자율주행 및 소프트웨어 기술 현황과 향후 계획을 상세히 설명했다.
이번 발표에서 현대차는 기존 2027년 말까지 레벨 2+ 자율주행 기술 탑재 양산차 출시 목표를 재확인하는 동시에, 이를 뛰어넘어 2028년 레벨 3 자율주행 SDV 양산을 통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미래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할 계획임을 강조했다. 레벨 3 자율주행은 특정 조건 하에서 운전자의 개입 없이 차량 스스로 주행이 가능한 단계로, 현대차는 이 기술을 SDV에 적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차량의 성능과 기능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SDV, 소프트웨어 중심의 미래 모빌리티
SDV는 하드웨어 중심의 기존 차량과는 달리, 소프트웨어를 통해 차량의 기능과 성능을 정의하고 제어하는 차세대 차량 플랫폼이다. 현대차는 SDV 개발을 통해 차량의 기능을 자유롭게 확장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며, Over-The-Air(OTA) 업데이트를 통해 차량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율주행 기술 개발의 핵심: 소프트웨어
현대차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있어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 강화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 기반의 자율주행 알고리즘 개발과 고성능 컴퓨팅 플랫폼 구축에 주력하여 더욱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자율주행 시스템을 구현할 계획이다. 또한, 다양한 환경에서의 자율주행 성능 검증을 위한 시뮬레이션 및 실제 주행 테스트를 병행하며 기술 개발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다.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노력
현대차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다양한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통해 자율주행 기술, 커넥티드 서비스, 모빌리티 플랫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며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자동차의 레벨 3 자율주행 SDV 양산 계획은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 현대자동차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현대자동차의 행보에 대한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