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과학기술 정책, 어디로 가야 할까? STEPI-과실연, 혁신 성장을 위한 10가지 핵심 과제 제시
2025-05-21

디지털타임스
급변하는 시대 속에서 과학기술 정책은 국가 경쟁력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STEPI(과학기술정책연구원)와 과실연(과학기술인재육성연구원)이 공동으로 발표한 ‘미래 과학기술 정책 10개 어젠다’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며, 혁신 성장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발표된 10가지 어젠다는 단순히 현재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그치지 않고, 미래 사회의 변화를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비전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 빅데이터, 바이오 등 첨단 기술 분야의 발전과 함께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윤리적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포함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주요 어젠다 내용
- 미래 유망 기술 집중 투자: 핵심 기술 확보를 위한 과감한 투자와 함께, 기술 개발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 규제 혁신을 통한 신기술 시장 창출: 새로운 기술의 상용화를 가로막는 불필요한 규제를 완화하고,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위한 유연한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 인재 중심의 과학기술 생태계 구축: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과학기술 인재를 육성하고, 이들이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 개방형 혁신 플랫폼 구축: 기업, 대학, 연구기관 간의 협력을 촉진하고, 지식과 기술을 공유하는 개방형 혁신 플랫폼을 구축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야 합니다.
- 데이터 기반 과학기술 정책 결정: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책 효과를 측정하고, 과학기술 정책의 효율성을 높여야 합니다.
- 지속 가능한 과학기술 투자: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 가능한 과학기술 투자를 위한 장기적인 로드맵을 수립해야 합니다.
- 과학기술 국제 협력 강화: 글로벌 과학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국제 공동 연구, 기술 교류 등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 과학기술과 사회의 조화: 과학기술 발전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윤리적, 사회적 논의를 활성화하고, 과학기술 정책 결정 과정에 시민 참여를 확대해야 합니다.
- 지역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 조성: 수도권 중심의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에서 벗어나, 지역의 특성을 살린 과학기술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야 합니다.
- 과학기술 리더십 강화: 국가 과학기술 정책을 총괄하고 이끌어갈 강력한 리더십을 구축해야 합니다.
결론
STEPI-과실연의 ‘미래 과학기술 정책 10개 어젠다’는 대한민국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의 중요한 지침이 될 것입니다. 제시된 어젠다들을 바탕으로, 정부, 기업, 학계가 긴밀하게 협력하여 미래 사회를 선도하는 과학기술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끊임없는 혁신과 도전 정신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빛나는 미래를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