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등 시 관심, 급락 시 무관심? 한국인 금융 이해력, 2년 만에 '빨간불'

2025-04-29
급등 시 관심, 급락 시 무관심? 한국인 금융 이해력, 2년 만에 '빨간불'
매일경제

지난해 한국 성인의 금융 이해력 점수가 2년 전보다 낮아진 충격적인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특히 기록적인 물가 상승기에 대한 관심은 뜨거웠지만, 물가 안정 이후에는 무관심으로 돌아서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은 29일 '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를 통해 이러한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금융 지식, 금융 행위, 금융 태도라는 3가지 분야를 측정하여 한국인의 금융 역량을 진단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조사의 주요 내용

지난 2024년 9월 2일부터 11월 1일까지 만 18세부터 79세까지의 성인 1만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조사에서, 금융 이해력 점수는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물가 상승에 대한 이해도는 두드러지게 낮아졌는데, 이는 기록적인 물가 상승기가 지나가면서 대중의 관심이 식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금융 이해력 저하의 원인 분석

전문가들은 금융 이해력 저하의 원인으로 다음과 같은 요인들을 지적합니다.

  • 경제 상황의 불확실성: 불안정한 경제 상황은 금융 상품에 대한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금융 지식 습득에 대한 동기를 저하시킵니다.
  • 금융 상품의 복잡성: 다양한 금융 상품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일반인이 상품의 내용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어려워졌습니다.
  • 금융 교육의 부족: 학교나 사회에서 제공되는 금융 교육이 부족하여 금융 지식 습득의 기회가 제한적입니다.

향후 과제 및 전망

금융 이해력 저하 문제는 개인의 재산 증식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의 안정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와 금융기관은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 금융 교육 강화: 학교 및 사회에서 금융 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금융 지식 함양을 위한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해야 합니다.
  • 금융 상품의 단순화: 금융 상품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상품 구조를 단순화하고, 상품 설명서를 개선해야 합니다.
  • 금융 정보 접근성 향상: 금융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소비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금융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금융 이해력 향상은 개인의 경제적 자립을 돕고, 건전한 금융 시장을 조성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앞으로 정부, 금융기관, 그리고 개인이 함께 노력하여 금융 이해력을 높여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