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소외' 논란…금융감독 체계 개편, 이재명 정부의 '공급자 중심 행정'인가?
2025-07-17

머니투데이
이재명 대통령이 공무원들에게 공급자 중심의 행정을 지양할 것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지만, 금융감독 체계 개편 논의 과정에서 금융권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금융감독 체계 개편안에 대한 금융회사들의 반발이 거세게 일고 있습니다.
금융회사는 매년 3천억 원이 넘는 감독 분담금을 부담하고 있습니다. 만약 감독 체계가 개편될 경우, 이 분담금은 수천억 원으로 증가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는 금융회사들의 수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결국 소비자에게 부담으로 전가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현재 금융감독 체계는 은행, 보험, 증권 등 각 금융기관을 감독하는 체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금융감독 체계 개편안은 금융감독원을 중심으로 모든 금융기관을 통합 감독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금융감독의 효율성을 높이고,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습니다.
그러나 금융권은 이러한 개편안이 금융회사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경영진의 책임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감독 분담금 증가로 인해 금융회사의 투자 여력이 줄어들고, 새로운 금융 상품 개발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습니다. 마치 '시어머니'가 4명으로 늘어난 상황처럼, 소비자 보호, 건전성 감독, 영업 행위 검사 등 다양한 요구에 맞춰 움직여야 하는 부담이 커진다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금융감독 체계 개편 논의 과정에서 금융권과의 충분한 소통과 협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금융회사의 의견을 경청하고, 현실적인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해야만 성공적인 개편이 가능할 것입니다. 이재명 정부는 '공급자 중심 행정'을 지양한다는 원칙을 실천하고, 금융권과의 상생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금융감독 체계 개편은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과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금융권과의 충분한 소통과 협의를 통해 실효성 있는 개편안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