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장기화 속, 지분형 모기지 도입? 금융권 '영끌' 해소 방안 모색

2025-04-03
가계부채 장기화 속, 지분형 모기지 도입? 금융권 '영끌' 해소 방안 모색
한겨레

급격한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 가계부채 문제가 장기화되면서 금융당국과 금융권의 긴급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특히 '영끌' 현상을 주도했던 빚(부채) 중심의 부동산 금융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지분형 주택금융(모기지) 도입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금융위원장을 비롯한 금융권 주요 인사들은 가계부채 문제 해결이 단기간에 이루어질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부동산 금융 구조의 전환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그 핵심 방안으로 지분형 모기지 도입을 통해 자산 가치 상승에 따른 이익을 공유하고 부채 의존도를 줄이는 방향으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했습니다.

지분형 모기지, 무엇이 다를까?

기존의 모기지는 주택 담보 대출과 유사하게, 주택을 담보로 대출을 받는 방식입니다. 반면 지분형 모기지는 주택 가치 상승에 따른 이익을 금융기관과 주택 소유자가 공유하는 방식입니다. 즉, 주택 가격이 상승하면 금융기관도 이익을 얻고, 주택 소유자는 이익의 일부를 배분받는 구조입니다. 이를 통해 주택 구매자는 초기 자본 부담을 줄이고, 금융기관은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금융당국의 계획은?

금융당국은 상반기 중으로 지분형 주택금융의 구체적인 도입 방안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세부적인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주택 가격 변동 위험을 줄이고 투자자 보호를 위한 안전장치 마련이 중요하게 고려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지분형 모기지 도입을 통해 주택 시장의 안정화와 가계부채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전문가의 의견은?

일각에서는 지분형 모기지가 '영끌' 해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지 의문점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주택 가격 상승이 둔화되거나 하락할 경우, 주택 소유자는 오히려 손실을 볼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금융 전문가들은 지분형 모기지가 부채 중심의 부동산 금융 구조를 개선하고, 주택 시장의 건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지분형 모기지 도입은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면밀한 검토와 함께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시장 상황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중요할 것입니다.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