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인의 면역 체계 비밀 밝혀! 삼성서울병원, '면역 다양성 지도' 완성 - 맞춤 치료의 길 열리다

2025-03-24
아시아인의 면역 체계 비밀 밝혀! 삼성서울병원, '면역 다양성 지도' 완성 - 맞춤 치료의 길 열리다
헤럴드경제

아시아 인종의 면역 체계 연구, 새로운 지평을 열다! 삼성서울병원 유전체연구소 박웅양 소장이 이끄는 연구팀이 셀(CELL) 저널에 '아시아 면역 다양성 아틀라스(AIDA)' 프로젝트 결과를 발표하며, 아시아 인종의 면역 체계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제공했습니다.

왜 아시아 면역 다양성 지도가 중요할까요? 같은 질병에 같은 치료제를 사용하더라도 환자마다 치료 반응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인종, 나이, 성별, 질병 진행 정도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합니다. 특히 아시아 인종은 유전적 다양성이 높아 면역 체계의 특징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AIDA 프로젝트, 어떻게 진행되었을까요? 한국, 싱가폴, 일본, 인도, 태국 등 아시아 국가의 연구진들이 참여하여 면역 세포 126만 개를 분석하는 대규모 국제 공동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 연구를 통해 각 국가별 면역 세포의 종류, 분포, 기능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아시아 인종의 면역 다양성 지도를 완성했습니다.

연구 결과,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이번 연구 결과는 아시아 인종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면역 체계의 특성을 고려한 신약 개발, 기존 치료제의 효과 극대화, 부작용 최소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앞으로의 전망은? 삼성서울병원 유전체연구소는 앞으로도 아시아 인종의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특히, AIDA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질병 예측, 예방, 진단,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전문가 인터뷰
박웅양 유전체연구소장은 “이번 연구는 아시아 인종의 면역 체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맞춤형 의료 시대를 여는 데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다”라고 밝혔습니다.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