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바닥 닳은 신발 밑창, 척추 건강 적신호? 10초 만에 확인하는 보행 습관 자가 진단법

2025-05-31
발바닥 닳은 신발 밑창, 척추 건강 적신호? 10초 만에 확인하는 보행 습관 자가 진단법
헬스조선

평소 무심코 걷는 우리의 걸음걸이가 척추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잘못된 보행 습관은 단순히 다리나 발목의 통증을 넘어 허리, 척추, 심지어 목까지 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현대인은 스마트폰 사용, 장시간 앉아있는 업무 등으로 인해 자세 불균형이 심화되어 잘못된 보행 습관을 더욱 쉽게 갖게 됩니다.

그렇다면 자신의 보행 습관이 올바른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복잡한 검사나 전문가의 진단 없이도, 닳아버린 신발 밑창만 잘 살펴보면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신발 밑창이 닳은 곳은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보여주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신발 밑창으로 알아보는 보행 습관 자가 진단

1. 발 전체가 고르게 닳았을 경우: 비교적 올바른 보행 습관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발의 아치 구조를 유지하며 체중을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건강한 걸음걸이입니다.

2. 뒤꿈치 안쪽 또는 바깥쪽이 심하게 닳았을 경우: 이는 '과회귀' 또는 '과외반' 보행 습관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과회귀는 발이 안쪽으로 꺾이는 현상이며, 과외반은 발이 바깥쪽으로 꺾이는 현상입니다. 이 경우, 무릎, 발목, 엉덩이 관절에 불균형한 부담을 주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과회귀: 발 안쪽으로 꺾임, 과외반: 발 바깥쪽으로 꺾임)

3. 특정 부위만 심하게 닳았을 경우: 특정 부위에만 과도한 압력이 집중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 경우, 보행 시 발의 움직임이 비정상적일 수 있으며, 족저근막염, 아킬레스건염 등의 발 관련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잘못된 보행 습관, 어떻게 교정해야 할까요?

잘못된 보행 습관은 꾸준한 노력과 교정을 통해 개선할 수 있습니다. 먼저 자세 교정 운동을 통해 엉덩이 근육, 코어 근육, 발목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발바닥 아치 지지를 위한 깔창을 사용하거나, 올바른 신발을 선택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만약 통증이 심하거나 개선되지 않는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 바로 신발 밑창을 확인해보세요! 10초 만에 자신의 보행 습관을 점검하고, 척추 건강을 지키는 첫걸음을 내딛을 수 있습니다. 건강한 걸음걸이는 곧 건강한 삶의 시작입니다.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