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성인 60% 건강 정보 이해력 '보통'? 질병 예방 활용 능력은 미흡

2025-08-07
대한민국 성인 60% 건강 정보 이해력 '보통'? 질병 예방 활용 능력은 미흡
아시아경제

대한민국 성인, 건강 정보 이해력은 어느 정도일까? 60%는 '보통' 수준

202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대한민국 성인 10명 중 6명(60.4%)이 적절한 수준의 건강 정보 이해력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긍정적인 신호이지만, 모든 영역에서 균등한 이해력을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영역별 건강 정보 이해력 차이

조사 결과, 성인들은 의사나 약사의 설명, 환자용 교육 자료 등 건강관리 영역에서 가장 높은 이해력을 보였습니다. 이는 의료 전문가와의 상담이나 교육 자료를 통해 건강 정보를 습득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 질병 예방이나 건강 정보를 판단하고 활용하는 자원활용 영역에서는 이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건강 정보를 단순히 이해하는 것 이상으로,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은 개선해야 할 부분이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왜 자원활용 영역의 이해도가 낮은 걸까?

자원활용 영역의 낮은 이해도는 여러 요인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건강 정보, 신뢰할 수 있는 정보원 식별의 어려움, 건강 관리에 대한 낮은 관심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또한, 디지털 기기 사용 능력 부족이나 정보 접근성의 제한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건강한 대한민국을 위한 노력

성인의 건강 정보 이해력 향상은 개인의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건강 증진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정부와 의료기관은 건강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원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합니다.

또한, 개인 스스로도 건강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정보 탐색 노력이 필요합니다. 건강 관련 뉴스를 꾸준히 확인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참고하며, 건강검진을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건강한 삶을 위한 정보 활용 능력 향상

대한민국 성인 60%의 건강 정보 이해력은 '보통' 수준이지만, 질병 예방 및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꾸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개인의 노력과 사회적 지원이 함께 이루어질 때, 더욱 건강하고 행복한 대한민국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추천
추천